시네마테크KOFA

영화가 있는 곳, 영화를 만나는 곳, 영화가 당신을 기다리는 곳

현재/예정 프로그램

낙원의 상흔, 그 너머의 빛: 스리랑카 영화 특별전

기간: 2025.03.27.목 ~ 04.16.수 |장소: 시네마테크KOFA 2관

  • GV
낙원의 상흔, 그 너머의 빛: 스리랑카 영화 특별전 대표 이미지

탐험가 마르코 폴로는 『동방견문록』에서 스리랑카를 "비옥하고 아름다운 섬"으로 묘사하였다. ‘인도양의 진주’라 불리는 스리랑카는 오랜 역사만큼이나 다채로운 불교 유적을 간직한 곳이며, 동시에 세계적인 서핑 명소로도 사랑받고 있다. 그러나 잘 알려진 대로, 스리랑카는 상처 입은 낙원이다. 

스리랑카 영화계를 논하기에 앞서, 영화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현대사를 짧게 살펴본다.  1948년, 스리랑카는 영국으로부터 독립했지만 식민 통치 시기 영국이 타밀족을 우대하면서 싱할라족과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1956년 싱할라어 국어 지정 법령을 계기로 대립이 격화되었고, 결국 1983년부터 2009년까지 정부군과 타밀일람 해방 호랑이(LTTE) 간의 내전이 이어졌다. LTTE의 패배로 내전은 종결되었지만, 이후 국가 재건 과정에서 많은 사회적 과제를 마주해야 했다. 특히 2022년에는 심각한 경제 위기로 인해 새로운 도전에 직면했다. 이러한 역사적 격변 속에서 스리랑카 영화 역시 변화의 흐름을 타고 발전해왔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스리랑카 영화가 일부 영화제를 통해 제한적으로 소개되었다. 2009년 전주국제영화제가 대규모로 스리랑카 뉴웨이브 감독들의 작품 12편을 소개하고 여러 부대행사를 가졌지만, 전후(戰後) 스리랑카 영화를 체계적으로 조망할 기회는 많지 않았다. 이번 기획전은 스리랑카 영화의 과거와 현재를 아우르는 대표작을 선보이며, 특히 전후 시대의 사회 변화, 경제적 위기, 산업적 변화를 다루는 작품들을 포함해 그 흐름을 일별하고자 한다.

스리랑카 영화의 기틀을 마련한 감독들의 대표작으로 기획전을 시작한다. ‘스리랑카의 사티야지트 레이’로 불리는 레스터 제임스 페리에스(Lester James PERIES) 감독의 대표작 3편을 상영한다. <운명의 선 Rekava>은 스리랑카 최초로 로케이션 촬영을 시도한 작품으로 칸 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되어 스리랑카 영화를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그의 스타일을 확립한 대표작이자 스리랑카 영화사에서 가장 중요한 걸작 중 하나로 평가받는 <변화하는 마을 Gamperaliya>, 베니스 영화제 은사자상을 수상한 <보물 TREASURE>을 상영한다. 1970년대에 데뷔해 스리랑카 영화의 새로운 흐름을 이끈 달마세나 파티라자(Dharmasena Pathiraja) 감독 역시 빼놓을 수 없다. 그는 사회적, 정치적 문제를 영화에 반영하며 당대 스리랑카 영화의 패러다임을 전환한 거장이다. 그의 대표작 <그들이 왔다 Bambaru Avith>를 포함해 모두 복원버전으로 상영된다.

고전영화가 스리랑카 영화의 기틀을 마련했다면, 현대 스리랑카 영화는 기존 문법을 확장하며, 전쟁과 사회의 변화를 영화로 탐구하였다. 이번 기획전에서는 비묵티 자야순다라 감독의 작품 2편을 상영한다. 칸 국제영화제 황금카메라상을 수상한 <버려진 땅 Forsaken Land>과 신화적 요소와 현대 사회를 병치하며 그의 미학적 탐구를 극대화한 <두 개의 세상 Between Two Worlds>을 상영한다.

마지막으로, 전후 시대에 제작된 스리랑카 영화의 새로운 흐름을 탐색한다. 먼저, 1990년대부터 현대 스리랑카 영화의 흐름을 이끌어온 프라산나 비타나게(Prasanna VITHANAGE) 감독의 대표작 2편을 상영한다. <당신과 함께, 당신 없이 With you, Without you>는 전쟁의 상흔이 개인에게 끼치는 영향과 봉합이 가능한가를 질문한다. <파라다이스 Paradise>는 스리랑카의 경제적 위기와 공권력의 무능력, 폭력성을 고발한 작품으로 2023년 부산국제영화제 지석상을 수상하였다. 이와 함께, 디지털 세대 감독들의 작품을 통해 새로운 스리랑카 영화의 흐름을 살펴본다. 이들은 앞선 감독들의 영향을 계승하면서도 저마다의 미학적 스타일을 확립하며 산업적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첫 번째로 산지와 푸쉬푸크마르 감독의 장편 3편을 상영한다. 산지와 푸쉬푸크마르(Sanjeewa Pushpakumara) 감독이 자신의 경험한 전쟁의 참상을 영화에 녹여낸 <플라잉 피쉬 Flying Fish>, 살해된 남편을 대신해 가족을 부양하는 여성의 생존을 다룬 <불타는 새 Burning Bird>,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불법 사업에 휘말려 도덕적 딜레마에 빠진 인물을 통해 스리랑카의 현실을 조명한 <피콕 라멘트 Peacock Lament>를 상영한다. 이 외에도, 스리랑카 여성들이 직면한 불평등과 부당함을 고발하는 <28>, 타밀족 출신 상이군인의 사회 재통합을 탐구하는 <모래 Munnel>, 인도에서 리메이크가 확정되며 스리랑카 영화 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희비극 <텐티고 Tentigo>까지 총 14편의 작품을 통해 스리랑카 영화의 흐름을 조망한다.

이번 기획전에서 필름 보존 상태의 문제, 디지털화가 이뤄지지 않는 문제 등으로 스리랑카를 대표하는 감독(대표적으로 아소카 한다가마)들의 주요한 몇몇 작품을 부득이하게 상영할 수 없었다. 너른 양해를 구한다. 스리랑카 영화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스리랑카 영화사 강연과 관객과의 대화를 준비하였다. 이번 기획전을 통해 국내에 최초로 소개되는 작품이 많은 만큼 관람 기회를 놓치지 않길 권한다.

※ 스리랑카 영화의 발견: 시네마테크 KOFA 특별전에서 만나는 작품과 관전 포인트 (바로가기)

※ 부대행사
 강연 
→일시: 3월 29일(토) 16:30 <그들이 왔다> 상영 후
→제목: 스리랑카 영화의 시대별 흐름: 아이콘, 운동 그리고 세계적 영향
→강연자: 산지와 푸시파쿠마라 감독
→순차통역: 김영우 프로그래머

 관객과의 대화 
→일시: 4월 5일(토) 15:00 <플라잉 피쉬> 상영 후
→참석자: 산지와 푸시파쿠마라 감독
→진행: 정성일 영화감독/평론가

상영 전 작품소개
→일시: 3월 28일(금) 19:00 <피콕라멘트> 상영 전
    참석자: 산지와 푸시파쿠마라 감독
→일시: 4월 5일(토) 15:00 <플라잉 피쉬> 상영 전
    참석자: 산지와 푸시파쿠마라 감독
→일시: 4월 15일(화) 19:00 <불타는 새> 상영 전
   참석자: 산지와 푸시파쿠마라 감독

  • 운명의 선
    레스터 제임스 페리에스 1956년 114분 D-Cinema
  • 보물(4K)
    레스터 제임스 페리에스 1972년 111분 D-Cinema(4K)
    예매하기
  • 그들이 왔다(4K)
    달마세나 파티라자 1978년 124분 D-Cinema(4K)
  • 버려진 땅
    비묵티 자야순다라 2005년 103분 D-Cinema
    예매하기
  • 두 개의 세상
    비묵디 자야순데라 2009년 85분 D-Cinema
    예매하기
  • 당신과 함께, 당신 없이
    프리사나 비타나게 2012년 94분 D-Cinema
    예매하기
  • 파라다이스(4K)
    프라사나 비타나게 2023년 92분 D-Cinema
  • 플라잉 피쉬
    산지와 푸시파쿠마라 2011년 100분 D-Cinema
    예매하기
  • 불타는 새
    산지와 푸시파쿠마라 2016년 84분 D-Cinema
    예매하기
  • 피콕 라멘트
    산지와 푸시파쿠마라 2022년 110분 D-Cinema
    예매하기
  • 28(4K)
    프라사나 자야코디 2014년 98분 D-Cinema
    예매하기
  • 모래
    비사케사 찬드라세카람 2022년 101분 D-Cinema
    예매하기
  • 텐티고
    일랑고 라마나단 2023년 103분 D-Cinema
    예매하기